25.04.07 (월) 03:40

Dailypharm

X
1000억 매출 재도전, 일동제약 �틔款す括� 부활
노병철 기자 2024-11-21 05:40:53
골드·씨플러스 등 라인업 순항...3분기까지 455억 달성 '회복세 뚜렷'

2018년 800억 수준 매출 기염...코로나19 팬데믹 등 외부변수 상쇄

1960년대 프로설티아민 합성 성공...중간체 염산티아민의 자체 생산

동남아 등 수출 200억 성과...근거중심 학술마케팅·동반성장 전략 구사

[데일리팜=노병철 기자] 일동제약 대표 일반약이자 국민영양제로 사랑받아 온 �틔款す� 시리즈가 전저점을 찍고, 초블록버스터 제품으로의 부활을 시도하고 있어 주목된다.

틔款す括� 2015년 국내 일반약 활성비타민제로는 처음으로 600억대 고지를 돌파, 이듬해에는 670억, 2018년에는 800억 매출에 달하는 기염을 토하며, 명실공히 국민영양제로 자리를 공고히 했다.

역대 최대실적 달성 후 경쟁제품인 원샷 멀티비타민제, 고함량비타민의 등장과 코로나19 팬데믹을 비롯한 외부변수 거기에 지난해 일동제약의 경영쇄신에 따른 일시적 광고중단 등 내부요인이 더해져 �틔款す� 실적은 잠시 우하향 곡선을 그리며 500억대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일동제약은 금년부터 안정화된 조직과 광고전략 재개 등 다시금 �틔款す恝� 강한 드라이브를 걸며, 뚜렷한 매출 향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일동제약은 최근 인기배우 손석구를 모델로, �틔款す括� 대표 카피인 "먹은 날과 안먹은 날의 차이"를 강조하며 소비자들의 관심을 다시 모으고 있다.

거래소 공시자료 기준, �틔款す� 시리즈의 금년 3분기까지 매출액은 455억원으로 연내 600억원 대의 매출 회복이 유력하다.


올해 출시 61주년을 맞은 �틔款す括� 16개 라인업으로 종합영양제 분야 최대 제품 구성을 확보하고 있는 점도 성장 배경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더해 일동온라인몰 활성화, 효과적인 광고전략, 다양한 학술마케팅 등을 통한 약국 동반성장 정책도 빼놓을 수 없다.

틔款す括� 1963년 발매한 활성비타민 피로해소제로 �틔款す寬宙�, �틔款す寬宙洋존�潔�, �틔款す刮악첨��, �틔款す館퓜置존�潔�, �틔款す刮팀� 등의 시리즈 제품이 있다.

2015년부터 단일 브랜드 기준, 국내 일반의약품을 통틀어 매출 1위에 올랐고 이 타이틀은 2019년까지 이어졌다.

특히 환갑을 맞은 �틔款す括� 긴 시간 동안 꾸준히 사랑받아 온 숨은 비결과 저력은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력에 있다.

일동제약은 많은 노력과 시행착오 끝에 독자적으로 프로설티아민 합성에 성공, 1963년 활성비타민 �틔款す适�10mg을 발매했다.

이어 예방적 차원의 영양제로서의 개념을 대량 요법을 통한 치료적 차원의 비타민으로 영역을 확대시키기 위해 �틔款す适�50mg을 출시해 의학업계로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더불어 원료의약품 주권확립을 위해 1966년 수입에 의존해 오던 �틔款す� 합성에 필요한 중간물질인 염산티아민의 자체 생산에 성공하는 개가를 올리기도 했다.

1970년에는 프로설티아민을 개선한 프루설티아민 합성에 성공하며 �틔款す寬宙躍� 발매, 종합비타민시장의 대표 브랜드로 도약하기 시작했다.

국내 대표 장수 의약품 중 하나인 �틔款す括�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형성되기 전부터 소비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확고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했다.

발매 초기였던 1966년에는 권투선수 김기수의 세게 주니어 미들급 타이틀 경기를 활용한 홍보활동은 스포츠 마케팅의 효시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의지의 한국인 시리즈는 �틔款す� 광고 중에서도 백미로 꼽힌다.

 ▲ 국민영양제 �틔款す括� '의지의 한국인' 시리즈 광고. 당시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호응으로 광고시장의 새바람을 일으켰다.

1971년부터 1974년까지 이어진 의지의 한국인 시리즈는 파일럿과 건축기사, 지휘자, 기관사, 도예가 등 12명에 이르는 광고모델이 증장해 당시 고단한 국민들에게 하면 된다는 신념과 자신의 직업에 대한 자긍심을 일깨운 광고로 자리잡았다.

틔款す括� 견고한 성장세는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경영진이 직접 제시한 주 소비층을 중년층 이상에서 젊은층가지 확대하는 총수요 확대전략, 시중 판매가격 안정을 위한 출하량통제 등의 적정공급전략, 대중매체 광고 강화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전략의 적중에 있다.

또한 �틔款す括� 주성분인 푸르설티아민 원료의약품은 최근 10년 간 200억 상당을 수출했으며,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가로 비타민제를 포함한 셀프메디케이션 시장 전망은 매우 밝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한편 활성비타민B1(푸르설티아민)은 티아민질산염에 비해 체내 흡수와 생체이용률이 높고, 리보플라빈 대비 더 긴 반감기를 가지고 있다.

특히 푸르설티아민은핼액뇌장벽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뇌에도 효과적으로 티아민을 공급할 수 있다.
노병철 기자 (sasiman@dailypharm.com)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0
독자의견
0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약국 일반약 매출액 Top 100(04월)
순위 상품명 횟수
1 타이레놀정500mg(10정) 23424
2 까스활명수큐액 11788
3 판콜에스내복액 13131
4 판피린큐액 10393
5 리쥬비넥스크림 1025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