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06 (일) 11:30

Dailypharm

X
"238품목에 차액만 396만원"...문전보다 로컬약국 타격
강혜경 기자 2023-08-24 12:10:20
"7676품목이나?" 손 놓은 곳 태반...파일 출력 엄두 못 내

"품절약도 상당수 포함"…손해액 계산기 두드리는 약국들 '한숨'


[데일리팜=강혜경 기자] 어제(23일)부로 7676개에 달하는 약가인하 품목 리스트가 공개되면서 약국이 본격적인 쓰나미를 맞고 있다.

24일 약국가에 따르면 관련 리스트를 확보는 했지만, 한숨이 앞선다는 약국이 상당수다.

현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 약사회와 유통협회 등이 나서 이전보다 여유 있게 리스트를 공개하고, 시행일을 9월 5일로 유예하는 당근책도 제시했지만 막상 현장의 혼란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대상 품목이 오리지널이 아닌 제네릭 위주 품목들이다 보니 로컬약국의 손해가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된다.

A약사는 "엑셀로 품목을 추려보니 238품목이 우선 추려졌다. 금액적으로는 400만원인데 문제는 대상 품목들 가운데 품절약이 다수 포함돼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약사는 "1정 기준 차액이 800원에서 1000원, 점안액의 경우 2000원인 경우도 있다 보니 반품을 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품절 사태가 빚어지면서 구입해 둔 약은 손해를 감수하고 떠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셀레비카정이다. 지난 4월 다산제약 화재로 인해 약국에서 셀레비카정을 미리 사입해 뒀지만 이번 약가인하 대상에 포함이 되면서 '차액을 계산하거나', '차액을 포기하는' 보기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놓였기 때문이다.

이 약사는 "현재도 셀레비카가 품절이다 보니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떠안을 수밖에 없다. 셀레비카를 포함해 아세클로페낙정, 에리손정, 리보에바티스 등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아세클로페낙정의 경우에도 한 품목만 16만원의 차액이 발생하지만 조제를 위해 할 수 없이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B약사도 "셀레비카정5/40mg과 셀레비카정5/20mg, 셀레비카10/40mg이 정당 46원, 41원, 49원씩 인하되지만 처방이 많이 나오다 보니 반품할 수 없다. 2개월 전에 사입한 부분은 인정이 되지 않다 보니 눈 뜨고 코를 베이는 상황"이라며 "가스젯에스알정 역시 차액 정산은 포기한 품목"이라고 말했다.

이 약사는 "코로나19 이후 품절약이 많다 보니 약국에서 미리 재고를 확보해 둔 경우가 많다 보니 상대적으로 한 품목, 한 품목에 대한 차액도 클 수밖에 없다"면서 "월말 청구와 결제까지 겹쳐 있는 상황에서 제대로 차액정산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토로했다.

9월 5일 시행이 된다고 하더라도 일부 도매에서는 실물반품 기한을 오는 25일까지로 정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반품이 불가한 처지라는 주장이다. 통상 실물 반품 기한을 28일, 길게는 30일로 잡는 도매상들이 많지만 일부 도매상의 경우 반품 기한을 25일로 잡고 있다 보니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다.

C약사도 "7000품목이 넘는 약가를 인하하면서 적어도 한 달 정도는 유예를 줘야 하는 게 아니냐"며 "재고도 파악하지 못한 약국들은 그야 말로 날벼락일 수밖에 없다. 결국에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D약사는 "정산해 보니 43품목이 해당하고 금액으로는 75만원 가량 된다. 문제는 반품을 해야 하는데 품절인 품목들"이라고 말했다.

이 약국의 경우 코바스텔 한 품목의 차액만 32만원으로 전체 금액의 상당부분을 차지하지만, 코바스텔서방캡슐이 품절이다 보니 고민이 따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코바스텔서방캡슐의 입고 예정일은 11월 이후로 예상된다.

문전약국 E약사는 "그나마 대학병원 문전약국들은 상황이 낫다. 이번 약가인하 대상 품목이 카피 품목들 위주다 보니 예상보다 품목 수가 많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약국의 경우 목시클정과 팜빅스, 파라마셋 등 14개 품목이 포함됐다.

F약사는 "도매상에 약국에 공급한 리스트를 달라고 역으로 제안하는 약국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일부 약국에서는 약가가 인하되면 생산량을 줄인다는 소문에 손해를 감수하고 재고를 쌓아두는 경우도 있다"면서 "약가인하와 대규모 반품이 누구를 위한 정책인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강혜경 기자 (khk@dailypharm.com )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0
독자의견
0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지역별 다빈도 일반약 판매가격 정보(2025년 04월)
경기 남부지역 약국 77곳
제품명 최고 최저 가격차 평균
삐콤씨정(100정) 25,000 22,000 3,000 23,231
아로나민골드정(100정) 30,000 28,000 2,000 29,447
마데카솔케어연고(10g) 8,000 5,500 2,500 6,863
겔포스엠현탁액(4포) 5,000 3,800 1,200 4,585
둘코락스에스정(20정) 7,000 6,500 500 6,600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