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06 (일) 13:58

Dailypharm

X
첨단재생의료법 3년성과는?…정부·업계 미묘한 시각차
김진구 기자 2023-07-15 05:50:55

정부·업계, 'BIX2023'서 국내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 현황 진단

복지부 "R&D 인프라 구축 중…유전자치료제로 지원 확대할 것"

바이오업계 "기술 발전만큼 규제 못 따라와…선제적 조치 필요"

[데일리팜=김진구 기자] 첨단재생의료법이 제정된 지 3년, 국내 세포·유전자 치료제 산업의 발전 속도를 두고 정부와 바이오업계의 평가가 미묘하게 엇갈렸다.

정부는 법 제정 이후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위한 인프라가 상당 부분 구축됐고 산업계를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놨다. 바이오업계에선 이런 평가에 전반적으로 동의하면서도, 세부적인 부분에선 여전히 규제가 산업 발전 속도를 따라오지 못한다며 아쉬움을 피력했다.

복지부 "첨단재생의료법 제정 3년, 인프라 구축·산업계 지원 확대" 평가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2023)에선 정부와 바이오업계가 국내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개발 현황을 진단했다.

먼저 마이크를 잡은 은성호 보건복지부 첨단의료지원관 국장은 첨단재생의료법이 제정된 이후로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위한 토양을 다지는 단계라고 평가했다.

은성호 국장에 따르면 복지부는 지난 3년 간 첨단재생의료 연구를 위한 실시기관 56개를 지정했다. 올해는 실시기관을 의원급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3년 간 57건의 과제를 접수했다. 이 가운데 25건은 연구를 지속해도 좋다는 적합 판정을 받았다. 특히 일부 과제는 획기적인 결과가 기대된다고 은성호 국장은 설명했다. 조금 더 구체화되면 기업으로 연계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은성호 국장은 지금까지 세포치료제에 대한 지원 비중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지원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은성호 국장은 "처음 첨단재생의료법이 제정될 당시 말도 많고 기대감도 컸다. 3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돌아보면 아직까지는 토대를 마련하는 중이라고 평가한다"며 "유전자치료제 영역에선 아직 사각지대가 많다고 본다. 이 부분을 적극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범부처사업단 "세포치료제에 집중된 경향…유전자치료제 지원 확대해야"

이어 조인호 범부처 재생의료기술 개발사업단장이 마이크를 잡았다. 조인호 단장 역시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 간 불균형을 지적했다.

사업단은 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출자한 6000억원을 10년 간 운용한다. 지난 3년 간 152개 과제에 1300억원이 지원됐다. 은성호 국장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세포치료제에 대한 지원이 많았다. 지원 과제의 70%가 세포치료제였다고 조인호 단장은 설명했다.

관련 특허 출원으로 봐도 비슷한 상황이다. 조인호 단장에 따르면 지난 10년 간 세포치료제와 관련한 특허 출원은 꾸준히 늘었다. 특히 출원 증가율로는 전 세계 최고 수준이다. 반면 유전자치료제 관련 특허 출원은 들쭉날쭉한 모습이다.


조인호 단장은 이러한 원인을 규제에서 찾았다. 조인호 단장은 "유전자치료제의 개념이 등장한 초기엔 많은 기업과 연구자가 치료제 상용화 가능성을 엿보고 특허를 출원했으나, 규제를 넘지 못할 것이란 전망에 힘을 잃었다. 그러다 최근 들어선 다시 급증하는 경향이 있는데, 해외에서 유전자치료제 승인이 난 이후"라고 설명했다.

조인호 단장은 "규제와 특허는 상호 보완적이다. 규제가 풀리면 기술이 발달하고, 이를 다시 규제가 컨트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바이오업계 "퍼스트인클래스 약물 개발하려면 산업-규제 함께 가야"

산업계에서는 법 제정 이후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 인프라가 대폭 확충됐고, 연구자들의 개발 역량도 크게 발전했다는 정부 판단에 공감했다.

다만, 기술 발전의 속도를 규제가 따라오지 못한다는 점에 대해선 아쉬움을 피력했다. 바이오업계를 대표해 패널 토론에 참석한 윤채옥 진메디신 대표이사(한양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GMP 문제를 대표적인 사례로 설명했다.

윤채옥 대표는 "비임상에서 좋은 결과가 나와서 임상 단계로 진입하려고 하니 GMP 생산에 발이 묶였다. 임상시험용 약물을 생산하려면 GMP에 맞는 공정과 분석법을 개발해야 하는데, 이 부분이 미비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윤채옥 대표는 "기초연구 영역에서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제법 나온다. 그러나 임상 단계에 진입하려고 하면 허가가 나오지 않을 것을 우려해 가장 안전한 경로를 선택한다"며 "이래서는 한국에서 퍼스트인클래스 약물을 개발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는 산업계의 이같은 지적을 인정했다. 은성호 국장은 "규제가 기술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는 게 사실"이라며 "특히 유전자치료제 영역에선 경험이 많지 않다. 산업계에서 더욱 많은 과제를 제출하고 규제 개선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조인호 단장 역시 "정부지원 과제로 선정될 때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였는데, 임상 단계로 진입할 땐 식약처 허가를 통과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다른 길로 가는 경우가 많다"며 "새로운 기술이라면 첫 단계부터 식약처와 상의하고 새로운 길을 함께 만드는 게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진구 기자 (kjg@dailypharm.com)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2
독자의견
2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 2023.07.15 12:00:30 수정 | 삭제

     

    감기약 감기약 복용(콧물 항히스타민제)이 전립선 비대증 악화 원인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8029851&cp=nv 어린이 타이레놀 먹으면 천식위험↑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191568_2892.html 임신부 아세트아미노펜 사용 자녀 ADHD 유발 http://www.medical-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655 유아기 아세트아미노펜 투여, 천식 위험성 증가 http://www.dailypharm.com/News/163671 아세트아미노펜 오래 복용하면 조혈기종양 위험 2배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1305821924&code=14131701 소염 진통제 & 관절염약 진통제(파라세타몰) 장기 복용하면 급사 위험 63%↑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304000582&md=20150304110933_BL 골관절염 진통제, 간독성 위험 증가 http://www.ytn.co.kr/_ln/0105_201106271603166891 진통제가 유해활성산소 만들어 간세포 괴사시켜 … 장기복용은 신기능·청력저하 http://health.joseilbo.com/html/news/?f=read&code=1329273077&seq=2387 이부프로펜등 진통소염제 정맥색전증 위험 1.8배 높여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4837 아스피린 아스피린 복용, 건강한 사람은 득보다 실 http://www.segyefn.com/articles/article.asp?aid=20131223020979&cid=0501010000000?OutUrl=naver 아스피린 남용 땐 소화성 궤양 위험 노령 환자일수록 신중히 복용 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1128025019 알러지 & 호흡기약 알레르기약(항콜린제) 장복하면 치매 위험 63% 증가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2/04/2015020400237.html 흡입식 기관지확장제, 객혈·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높여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1128_0013324267&cID=10201&pID=10200 심근경색 약 COX-2 억제제 COX-2 억제제 심장사망 위험 높인다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191965&code=46111801&cp=nv 혈압약 혈압약 복용 노인, 낙상 위험 증가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816218&ref=A 혈압약 장기 복용시 유방암 위험 2배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7438282&cp=nv 이뇨제 혈압약 먹는 고혈압 남성 '골다공증' 위험 3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050699 특정 혈압약(베타차단제), 백내장 촉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781531 고지혈증약 콜레스테롤 수치 높아도 심장·혈관에 이상 없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2/10/2015021002161.html 스타틴 '기적의 고지혈증 약’, 이제는 애물단지 전락? http://www.hankookilbo.com/v/f96d9236648f4fe2a6e213f40a4ac95c 스타틴, 제2형 당뇨병 발병위험 46%↑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312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 백내장 위험 27%↑”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8923507&code=61121111&cp=nv 콜레스테롤약 심각한 근육부작용 주의당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3185068 당뇨약 당뇨치료제 '메트포민'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 낮추어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4664 위장약 & 제산제 "제산제 'PPI',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 http://www.ytn.co.kr/_ln/0104_201307130944562672 제산제 오래 복용하면 골절위험 높아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2021236071&code=930401 골다공증 강력한 골다공증 주사제 뼈괴사 위험 높여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118409&code=46111301&cp=nv 골다공증약 ‘비스포스포네이트’ 심방세동 위험 높여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7640162&cp=nv 항생제 항생제 자주 사용하면 '2형 당뇨병' 위험 높아져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52029 항생제 소아 비만위험요인일 수도…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263 어릴 적 항생제 사용 '소아특발성관절염' 위험 높여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6757 항생제 클라리스로마이신,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높여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443 젖먹이에게 항생제, 천식위험 높다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199783_2892.html 첫돌 전 항생제 복용하면 습진 위험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7339176&cp=nv 비타민 비타민 D 너무 많아도 탈… 사망위험도 높여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251833&code=46111801&cp=nv 비타민E 과다 섭취하면 골다공증 위험 있어 http://www.hidoc.co.kr/Hidoc/News01.aspx?Mode=View&ModuleID=407&srno=20564 호르몬제 미 연구팀 "경구피임약 장기 복용, 크론병 위험 3배"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881623&plink=ORI&cooper=NAVER 피임약 복용 여성, 뇌종양 발생 부쩍 늘어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074361&code=46111801&cp=nv HRT(호르몬대체요법) 복용 신장결석 발생 위험성 증가시켜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6&nid=135318 단기간 호르몬 치료도 난소암 발생 위험 높인다 http://www.dailypharm.com/News/194398 정신과약 & 수면제 “흔히 처방되는 항정신병약물, 치매 환자 조기 사망 위험 높인다” http://www.ajunews.com/view/20150319163731076 수면제, 3개월 이상 복용 시 알츠하이머병 위험 커진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9/11/2014091101172.html 수면제 장기 복용 시 치매 걸림 위험 최대 51% 높아져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0911_0013163295&cID=10101&pID=10100 수면제 심부전 환자 사망 위험 8배 높여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0219 항우울제 젊은 성인 자살위험도 높인다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8283848&cp=nv 출산 前 항우울제 복용이 소아 자폐증 위험 ↑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6&nid=173674 진정제와 항우울제, 발기부전 발생 위험 증가 http://www.dailypharm.com/News/171498 다이어트약 비만약 ‘오르리스타트’ 중증 간손상 부작용 보고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1275042154&code=14131402 기타 체중 증가하는 뜻밖의 이유, ‘잘못된 약 처방’ 어떤 약 먹으면 살 찌나? http://www.fnnews.com/news/201503260925318187 항우울제, 피임약, 호르몬 요법제, 스테로이드, 심장병과 고혈압에 먹는 베타차단제, 타목시펜 같은 유방암 약, 일부 류머티스성 관절염약, 일부 편두통 및 역류성 식도염약..

    댓글 0 0 0
    등록
  • 2023.07.15 12:00:11 수정 | 삭제

     

    감기약 감기약 복용(콧물 항히스타민제)이 전립선 비대증 악화 원인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8029851&cp=nv 어린이 타이레놀 먹으면 천식위험↑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191568_2892.html 임신부 아세트아미노펜 사용 자녀 ADHD 유발 http://www.medical-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655 유아기 아세트아미노펜 투여, 천식 위험성 증가 http://www.dailypharm.com/News/163671 아세트아미노펜 오래 복용하면 조혈기종양 위험 2배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1305821924&code=14131701 소염 진통제 & 관절염약 진통제(파라세타몰) 장기 복용하면 급사 위험 63%↑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304000582&md=20150304110933_BL 골관절염 진통제, 간독성 위험 증가 http://www.ytn.co.kr/_ln/0105_201106271603166891 진통제가 유해활성산소 만들어 간세포 괴사시켜 … 장기복용은 신기능·청력저하 http://health.joseilbo.com/html/news/?f=read&code=1329273077&seq=2387 이부프로펜등 진통소염제 정맥색전증 위험 1.8배 높여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4837 아스피린 아스피린 복용, 건강한 사람은 득보다 실 http://www.segyefn.com/articles/article.asp?aid=20131223020979&cid=0501010000000?OutUrl=naver 아스피린 남용 땐 소화성 궤양 위험 노령 환자일수록 신중히 복용 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1128025019 알러지 & 호흡기약 알레르기약(항콜린제) 장복하면 치매 위험 63% 증가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2/04/2015020400237.html 흡입식 기관지확장제, 객혈·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높여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1128_0013324267&cID=10201&pID=10200 심근경색 약 COX-2 억제제 COX-2 억제제 심장사망 위험 높인다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191965&code=46111801&cp=nv 혈압약 혈압약 복용 노인, 낙상 위험 증가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816218&ref=A 혈압약 장기 복용시 유방암 위험 2배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7438282&cp=nv 이뇨제 혈압약 먹는 고혈압 남성 '골다공증' 위험 3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050699 특정 혈압약(베타차단제), 백내장 촉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781531 고지혈증약 콜레스테롤 수치 높아도 심장·혈관에 이상 없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2/10/2015021002161.html 스타틴 '기적의 고지혈증 약’, 이제는 애물단지 전락? http://www.hankookilbo.com/v/f96d9236648f4fe2a6e213f40a4ac95c 스타틴, 제2형 당뇨병 발병위험 46%↑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312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 백내장 위험 27%↑”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8923507&code=61121111&cp=nv 콜레스테롤약 심각한 근육부작용 주의당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3185068 당뇨약 당뇨치료제 '메트포민'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 낮추어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4664 위장약 & 제산제 "제산제 'PPI',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 http://www.ytn.co.kr/_ln/0104_201307130944562672 제산제 오래 복용하면 골절위험 높아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2021236071&code=930401 골다공증 강력한 골다공증 주사제 뼈괴사 위험 높여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118409&code=46111301&cp=nv 골다공증약 ‘비스포스포네이트’ 심방세동 위험 높여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7640162&cp=nv 항생제 항생제 자주 사용하면 '2형 당뇨병' 위험 높아져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52029 항생제 소아 비만위험요인일 수도…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263 어릴 적 항생제 사용 '소아특발성관절염' 위험 높여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6757 항생제 클라리스로마이신,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높여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443 젖먹이에게 항생제, 천식위험 높다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199783_2892.html 첫돌 전 항생제 복용하면 습진 위험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7339176&cp=nv 비타민 비타민 D 너무 많아도 탈… 사망위험도 높여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251833&code=46111801&cp=nv 비타민E 과다 섭취하면 골다공증 위험 있어 http://www.hidoc.co.kr/Hidoc/News01.aspx?Mode=View&ModuleID=407&srno=20564 호르몬제 미 연구팀 "경구피임약 장기 복용, 크론병 위험 3배"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881623&plink=ORI&cooper=NAVER 피임약 복용 여성, 뇌종양 발생 부쩍 늘어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074361&code=46111801&cp=nv HRT(호르몬대체요법) 복용 신장결석 발생 위험성 증가시켜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6&nid=135318 단기간 호르몬 치료도 난소암 발생 위험 높인다 http://www.dailypharm.com/News/194398 정신과약 & 수면제 “흔히 처방되는 항정신병약물, 치매 환자 조기 사망 위험 높인다” http://www.ajunews.com/view/20150319163731076 수면제, 3개월 이상 복용 시 알츠하이머병 위험 커진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9/11/2014091101172.html 수면제 장기 복용 시 치매 걸림 위험 최대 51% 높아져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0911_0013163295&cID=10101&pID=10100 수면제 심부전 환자 사망 위험 8배 높여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0219 항우울제 젊은 성인 자살위험도 높인다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8283848&cp=nv 출산 前 항우울제 복용이 소아 자폐증 위험 ↑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6&nid=173674 진정제와 항우울제, 발기부전 발생 위험 증가 http://www.dailypharm.com/News/171498 다이어트약 비만약 ‘오르리스타트’ 중증 간손상 부작용 보고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1275042154&code=14131402 기타 체중 증가하는 뜻밖의 이유, ‘잘못된 약 처방’ 어떤 약 먹으면 살 찌나? http://www.fnnews.com/news/201503260925318187 항우울제, 피임약, 호르몬 요법제, 스테로이드, 심장병과 고혈압에 먹는 베타차단제, 타목시펜 같은 유방암 약, 일부 류머티스성 관절염약, 일부 편두통 및 역류성 식도염약..

    댓글 0 0 0
    등록
약국 일반약 매출액 Top 100(04월)
순위 상품명 횟수
1 타이레놀정500mg(10정) 23424
2 까스활명수큐액 11788
3 판콜에스내복액 13131
4 판피린큐액 10393
5 리쥬비넥스크림 1025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