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09 (수) 08:29

Dailypharm

X
확진자 줄자 일반약 수요 주춤…수량제한 이슈에도 '뚝'
강혜경 기자 2023-01-11 06:00:34

기침감기약·해열진통제 등 '12주 연속 판매 증가세' 꺾여

판매수량 약국 자율 제한 불구 수요 자연 감소…타세놀 판매액은 53% 늘어

[데일리팜=강혜경 기자]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감소하면서 약국 일반약 수요 역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2주 연속 증가세를 보이던 기침·감기약과 해열진통제, 인후통치료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판매가 1월 들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감기약 판매수량 제한'이라는 커다란 이슈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확진자가 줄어들면서 일반약을 찾는 수요가 자연 감소한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대표적인 아세트아미노펜 제제인 타이레놀500mg 품절로 인해 타세놀의 판매는 전 주 대비 5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국현장 데이터 분석 서비스 케어인사이트(www.careinsight.co.kr)가 2023년 1주(1월 1~7일) 일반약 판매 흐름을 확인한 결과 하향 곡선을 그렸다.

 ▲ 케어인사이트 제공.

기침감기약·인후질병치료제는 전 주 대비 8%, 해열진통제는 10%,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12% 가량 판매가 줄어들었다.

12주 연속 증가하던 기침감기약 판매액은 2억7000만원으로 줄었다. 판피린큐액과 팜플루콜드연질캡슐 판매액이 각각 4%와 5% 감소했으며 품절 이슈로 공급이 원활하지 못했던 판콜에스내복액의 경우 18% 가량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열진통제의 경우 전체 판매액은 전 주에 비해 10% 감소했지만 제품 별로는 희비가 엇갈렸다. 판매액이 가장 큰 얀센아세트아미노펜정은 12%, 게보린은 4% 감소했으나 타세놀500mg은 얀센아세트아미노펜 품절로 인해 이전 주 보다 53% 판매가 증가했다.

인후질병치료제도 수요 증가가 감소로 줄어들었다. 베타딘인후스프레이 판매액은 2% 증가했지만 쎄파렉신캅셀과 소렉신연조엑스 모두 5%씩 판매액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판매액은 다른 일반의약품 군에 비해 더 큰 감소폭을 보였다. 탁센연질캡슐과 이지엔6이브연질캡슐, 팜페인파워연질캡슐 등 주요 제품 판매액은 각각 8%, 5%, 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자가검사키트 역시 1주 판매된 개수는 1만3482개로 전 주인 53주(12월 25~31일) 1만4900개 대비 10% 가량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으며, 타액키트 판매량 역시 이전 주보다 22% 감소한 240개를 기록했다.

약국당 일일 판매량 역시 52주 5.50개, 53주 5.19개, 1주 4.74개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9일 열린 중대본 정례 브리핑에서 "해외 보도 내용과 논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완전히 새로운 변이 출현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다"며 "현재의 방역·의료 대응 정책이 잘 유지된다면 신규 발생도 점점 감소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측해 본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역시 현재 지난해 12월 시작된 유행이 정점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중국 내 유행변이는 BA.5계통이 대부분이라 개량 백신 접종을 통해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약사들 역시 판매수량 제한 조치를 유보한 것은 당연한 일이라는 분위기다. A약사는 "정부가 혼란만 부추긴 셈"이라며 "유보는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B약사도 "일반약과 키트 수요는 코로나19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신규 확진자가 늘면 일반약과 키트 수요가 덩달아 늘고, 확진자가 줄어들 경우 수요 역시 줄어들기 때문에 약국이 확진자 증감 추세에 관심을 갖는 것"이라며 "과도한 개입이 시장을 교란시킬 수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강혜경 기자 (khk@dailypharm.com )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0
독자의견
0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지역별 다빈도 일반약 판매가격 정보(2025년 04월)
경기 남부지역 약국 77곳
제품명 최고 최저 가격차 평균
삐콤씨정(100정) 25,000 22,000 3,000 23,231
아로나민골드정(100정) 30,000 28,000 2,000 29,447
마데카솔케어연고(10g) 8,000 5,500 2,500 6,863
겔포스엠현탁액(4포) 5,000 3,800 1,200 4,585
둘코락스에스정(20정) 7,000 6,500 500 6,600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