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15 (화) 11:58

Dailypharm

X
약국에 적용 가능한 월경전 증후군 상담기법은?
데일리팜 2022-09-16 14:00:17
이승희-오성곤 약사의 팜토크

여성 생애주기 호르몬 변화와 약국 상담 '파트 4'




◆방송: 팜토크
◆영상 촬영 편집: 이현수, 조인환 기자
◆출연: 이승희, 오성곤 약사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등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는 이승희 약사와 약사사회 일타 학술강사로 활동 중인 오성곤 약사(약학박사)가 의약 정보, 약계 이슈,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 OTC 리뷰 등을 주제로 매주 독자 여러분을 찾아 갑니다. 자 이제부터 두 약사의 '케미'를 확인해 볼까요?

◆월경전 증후군 상담

1. 월경전 증후군이란
1) 월경시작 2주전부터(배란후 황체기부터) 나타나서 월경 시작 후 소실되는 주기적인 신체적, 정서적 행동장애이며 두통, 유방팽만감, 부종, 여드름, 피로, 정서불안정, 긴장 및 우울증 등의 증상 발생
참고) PMDD(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월경전불쾌장애) : PMS의 심한 상태로 일상생활에 장애가 초래할 정도로 심한 상태, 특히 정신적 증상이 심해짐
3) 초경 이후 가임기 언제라도 나타나며, 20대 후반부터 ~ 40대 초반까지 많이 발생
- 35세 이후 심해지는 경향, 배란이 중단되는 임신, 수유, 폐경기 이후에는 소실됨.

2. 월경전 증후군 증상의 주요 증상 ADCH
A : Anxiety, 불안증, 에스트로겐 과다 및 프로게스테론 수치 저하에 관련 가능성
D : Depression : 우울증,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 안드로겐, 프로게스테론 분비 증가, 난소의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 및 신경전달 물질 분해 증가에 관련 가능성
C : Craving (Carbohydrate) : 탄수화물 욕구 증대 상태. Cortisol분비의 변화 내지 고 Insulin 혈증과 관련 가능성
H : Hydration : 과수화상태, 체중증가, 복부팽만감, 유방통 등이 발생, Aldosterone 증가와 관련 가능성(Prolactin과도 관련 가능성)

3. 월경전 증후군의 원인
아래 원인이 복합적이며, 유전적 요인도 관여
(1) 고프로락틴혈증 (Dopamine 활성 저하)
- Dopamine 활성저하 및 prolactin 증가로 체액저류 및 유방팽만감을 유발
(2)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불균형( = fluctuation)
(3) 세로토닌 활성 저하(PMDD와도 관련)
(4) aldosterone의 증가
(5) 황체기에 내인성 endorphin 감소(통증, 불쾌감을 느낌)

4. 월경전증후군의 약국 상담은?
1) 부종감소를 돕는 pamabrom 복합제품, artichoke, 당귀작약산 같은 한약제제 등
2) 감마리놀렌산(순환촉진 및 prolactin 감소로 유방팽만감 감소에 도움)
3) Mg (+ Ca) : 월경전증후군의 경련 증상 감소, 신경예민 증상 감소
4) Vitex agnus castus(프리페민) : progesterone 및 Dopamine 활성증가로 prolactin을 억제
5) 천연의 프로게스테론 공급제품(크림 등)
6) NSAIDs : 통증의 대증 요법
데일리팜 (pharmtalk@daum.net)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0
독자의견
0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