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04 (금) 10:35

Dailypharm

X
인건비·물류비 상승…의약품 유통업계 수익성 악화
정새임 기자 2022-04-15 06:00:45
매출 1000억 이상 60개 의약품 유통업체 실적 분석

합계 매출액 1.6% 증가...매출 1조 이상은 지오영 등 3곳

2곳 중 1곳이 영업이익·순이익 줄어들어

[데일리팜=정새임 기자] 지난해 의약품유통업체들의 수익성이 악화했다. 2곳 중 1곳에서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줄었다. 유통 수수료 악화, 인건비 상승 등이 수익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15일 주요 의약품유통업체 60곳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총 매출액은 21조1023억원으로 전년 20조7793억원 대비 1.6% 증가했다. 매출은 소폭 늘어난 반면 총 영업이익은 3859억원에서 3724억원으로 3.5% 감소했다. 전체 순이익도 2672억원에서 2488억원으로 6.9% 줄었다. 평균 영업이익률은 1.8%에 불과했다.

매출액 1000억원 이상 60개 의약품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다. 60곳 중 44곳이 지난해 매출을 성장했으나 절반이 넘는 31곳에서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감소했다. 34개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전년보다 하락했다. 외형은 늘었는데 남는 건 줄었다는 의미다. 60곳 중 4곳은 영업적자가 이어졌다.

 ▲ 자료: 금융감독원

지난해 매출액 1조원 이상을 기록한 의약품유통업체는 지오영, 백제약품, 지오영네트웍스 3곳으로 나타났다. 1위 지오영은 매출액 2조4500억원을 기록했다. 공적마스크 종료로 전년 2조7375억원 대비 10.5% 줄었지만 여전히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영업이익은 504억원에서 559억원으로 10.8% 늘었다.

백제약품과 지오영네트웍스는 매출은 각각 3.0%, 7.0% 줄었지만 1조원을 넘겨 2,3위를 차지했다. 두 회사의 작년 매출액은 각각 1조6921억원, 1조274억원이다.

상위권 업체들도 수익성 하락을 피할 수 없었다. 백제약품과 지오영네트웍스의 영업이익이 급감했다. 백제약품은 전년도 77억원에서 12억원으로 84.2% 하락했으며, 지오영그룹인 지오영네트웍스는 75억원에서 12억원으로 84.3% 감소했다.

지오영네트웍스를 포함해 지오영 그룹 전체가 만족할 만한 성적을 내지 못했다. 영남지오영(-97%), 호남지오영(적자확대), 대전지오영(-28.1%), 경남지오영(-72.9%), 강원지오영(-33.2%) 등 다른 지오영 그룹사들은 일제히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영업이익률도 지오영네트웍스 0.6%p, 영남지오영 0.5%p, 호남지오영 0.4%p, 대전지오영 0.2%p, 경남지오영 0.4%p, 강원지오영 0.1%p씩 줄어들었다.

매출 1조원을 눈앞에 둔 복산나이스는 매출액은 전년 대비 4.8% 상승했지만, 역시 영업이익은 쪼그라들었다. 작년 복산나이스 영업이익은 102억원에서 10.6% 하락한 91억원을 기록했다. 한때 의약품 유통 강자였던 쥴릭파마코리아는 매해 하락세를 겪고 있다. 작년에는 매출액이 전년보다 12.3% 감소하며 1조원 아래로 떨어졌다. 영업손실도 139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지난해 SK바이오사이언스와 함께 코로나19 백신을 유통했던 동원아이팜은 작년 매출이 12.5% 확대하며 3376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동원아이팜의 영업이익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업이익은 58억원에서 40억원으로 30.2% 하락했다. 영업이익률은 1.9%에서 1.2%로 0.7%p 낮아졌다.

인건비, 물류비 상승 등으로 인해 판매비와 관리비가 올라간 것이 의약품유통업체들의 수익성을 악화시킨 배경으로 꼽힌다.

복산나이스의 경우 작년 판관비로 574억원을 지출했는데, 이는 전년도 492억원보다 16.7% 늘어난 수치다. 매출액은 4.8% 확대했지만, 판관비 지출 비율이 더 높아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졌다. 운반비, 인건비, 용역수수료 등에서 전반적으로 비용이 상승했다.

동원아이팜도 지난해 백신 유통에 많은 인력을 쓰면서 판관비가 급증했다. 전년 148억원이었던 판관비가 지난해 339억원으로 치솟았다. 인건비, 운반비 비용이 높아진 것이 판관비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판관비 상승 속에서도 대형병원에 의약품을 납품하는 업체들은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했다. 가톨릭의료재단에 의약품 공급을 전담하는 비아다빈치의 작년 영업이익률은 16.0%로 전체 의약품유통업체 중 가장 높았다. 비아다빈치는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1.4%, 11.0% 확대하는 호실적을 보였다. 경희의료원과 백병원의 직영 도매로 여겨지는 팜로드, 화이트팜도 8.4%, 8.1%라는 높은 영업이익률을 나타냈다.
정새임 기자 (same@dailypharm.com)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1
독자의견
1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 2022.04.15 08:52:37 수정 | 삭제

     

    병원 전납 도매가 답이네.

    댓글 0 0 1
    등록
지역별 다빈도 일반약 판매가격 정보(2025년 04월)
경기 남부지역 약국 77곳
제품명 최고 최저 가격차 평균
삐콤씨정(100정) 25,000 22,000 3,000 23,231
아로나민골드정(100정) 30,000 28,000 2,000 29,447
마데카솔케어연고(10g) 8,000 5,500 2,500 6,863
겔포스엠현탁액(4포) 5,000 3,800 1,200 4,585
둘코락스에스정(20정) 7,000 6,500 500 6,600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