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06 (일) 13:24

Dailypharm

X
일동 60억·동화 50억·유한 30억...새 먹거리 투자 활발
천승현 기자 2021-05-18 06:00:48
[DP토픽] 제약·바이오 분기보고서 분석 ②타법인 투자 현황

유한, DNA백신 벤처 에스엘백시젠에 30억 투자

한독·에스티팜·동아에스티 등도 벤처 투자 가세

[데일리팜=천승현 기자] 올해에도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새 먹거리 발굴을 위한 외부 투자를 활발하게 단행했다. 유한양행은 백신개발 바이오벤처에 신규 투자 30억원을 투입했고 일동제약, 동화약품, 한독, 동아에스티, 에스티팜도 바이오벤처 투자를 확대했다. 사모펀드나 투자조합 등을 통한 투자도 활발하게 전개했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지난 2월 에스엘백시젠에 30억원을 투자해 지분 3.2%를 취득했다. 에스엘벡시젠은 에스엘바이젠의 자회사로 감염성 질환과 암치료를 위한 DNA 백신 개발 사업의 물적분할을 통하여 2017년 설립된 바이오벤처다. 에스엘바이젠은 유전공학을 이용한 신약연구와 개발을 목적으로 2006년 설립됐다. 성영철 제넥신 회장이 최대주주다.

유한양행은 에스엘백시젠에 대한 지분투자를 통해 DNA 백신 개발 사업 등의 영역에서 연구개발 협력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한양행은 최근 국내 제약기업 중 가장 활발한 외부투자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에만 휴이노(50억원), 아밀로이드솔루션(50억원), 지아이바이옴(50억원), 메디오젠(230억원), 에이프릴바이오(30억원), 셀비온(20억원), 지놈오피니언(50억원) 등 바이오벤처 7곳에 480억원을 투자했다.

유한양행은 2015년 바이오니아, 코스온, 제넥신, 이엠텍 등 코스닥상장기업 4곳에 850억원을 투자했다. 2016년 381억원, 2017년 140억원, 2018년 301억원, 2019년 310억원 등 지난 6년 동안 2000억원 이상의 외부투자 행보를 보였다.


주요 제약바이오기업 중 일동제약이 가장 많은 60억원의 외부투자를 진행했다. 일동제약은 지난 2월 바이오벤처 아보메드에 60억원 규모의 지분투자를 했다. 일동제약이 단일 외부기업에 투자한 사례 중 가장 많은 규모다. 이 투자로 일동제약은 아보메드의 주식 10%를 확보했다.

아보메드는 희귀 난치성 질환 분야 신약 R&D에 주력하는 바이오 벤처기업이다. 미국, 독일 등의 파트너사로부터 도입한 윌슨병 치료제, 류마티스 및 건선 치료제, 마취제 등 유망 R&D 파이프라인도 보유하고 있다. 일동제약은 아보메드와 함께 추진하는 신약 R&D 과제의 실현을 위해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동화약품은 1분기에 2곳에 50억원을 투자했다. 동화약품은 지난 2월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을 대상으로 40억원을 투자해 지분 2.39%를 취득했다.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혁신형 치료제와 치료기기 등을 개발하는 바이오기업이다. 내시경용 체내지혈제 '넥스파우더(Nexpowder)'와 혈관색전미립구 '넥스스피어(Nexsphere)' 등의 제품화에 성공했다.

동화약품은 3월에는 프로젝트펀드 고릴라앤코어컨텐츠에 10억원 투자를 단행했다.

한독은 지난 3월 웰트에 30억원을 투자했다. 웰트는 2016년 삼성전자에서 스핀오프한 디지털치료제 개발 스타트업이다. 한독은 웰트를 통해 디지털 치료제 연구,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고 알코올 중독과 불면증 디지털 치료제를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는 지난 2월 바이오벤처 노벨티노벨리티에 10억원을 투자했다. 노벨티노벨리티는 황반변성 및 당뇨병성 망막병증치료제 등 안과질환 신약을 개발 중이다. 에스티팜은 항암제를 개발 중인 피노바이오에 15억원 규모의 지분투자를 했다.

제약바이오기업들이 투자조합이나 사모펀드를 통한 투자 활동도 크게 눈에 띈다.

제일약품은 에스앤피셕신기술조합에 30억원을 투입했고, 대화제약, 보령제약, 파마리서치 등도 투자기업에 대한 투자를 단행했다.
천승현 기자 (1000@dailypharm.com)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인쇄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0
독자의견
0
익명의견 쓰기 | 실명의견쓰기 운영규칙
닫기

댓글 운영방식은

댓글은 실명게재와 익명게재 방식이 있으며, 실명은 이름과 아이디가 노출됩니다. 익명은 필명으로 등록 가능하며, 대댓글은 익명으로 등록 가능합니다.

댓글 노출방식은

새로운 댓글을 올리는 일반회원은 댓글의 하단에 실시간 노출됩니다.

댓글의 삭제 기준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상용 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 근거 없는 비방·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

    특정 이용자 및 개인에 대한 인신 공격적인 내용의 글 및 직접적인 욕설이 사용된 경우

    특정 지역 및 종교간의 감정대립을 조장하는 내용

    사실 확인이 안된 소문을 유포 시키는 경우

    욕설과 비어, 속어를 담은 내용

    정당법 및 공직선거법, 관계 법령에 저촉되는 경우(선관위 요청 시 즉시 삭제)

    특정 지역이나 단체를 비하하는 경우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해당인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전화, 상세주소 등)를 무단으로 게시하는 경우

    타인의 ID 혹은 닉네임을 도용하는 경우

  • 게시판 특성상 제한되는 내용

    서비스 주제와 맞지 않는 내용의 글을 게재한 경우

    동일 내용의 연속 게재 및 여러 기사에 중복 게재한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게재하는 경우도 포함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의 게시물, 제목과 본문이 무관한 경우

    돈벌기 및 직·간접 상업적 목적의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게시물 읽기 유도 등을 위해 내용과 무관한 제목을 사용한 경우

  •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 기타사항

    각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미리 공지한 경우

    기타 법률에 저촉되는 정보 게재를 목적으로 할 경우

    기타 원만한 운영을 위해 운영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 사실 관계 확인 후 삭제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지 않은 내용을 무단 게재, 복제, 배포하는 경우

    타인의 초상권을 침해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경우

    당사에 제공한 이용자의 정보가 허위인 경우 (타인의 ID, 비밀번호 도용 등)

  • ※이상의 내용중 일부 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도 있으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으로 판단되거나 데일리팜 서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선 조치 이후 본 관리 기준을 수정 공시하겠습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데일리팜 운영자에게 연락주십시오. 메일 주소는 dailypharm@dailypharm.com입니다.

최신순 찬성순 반대순
지역별 다빈도 일반약 판매가격 정보(2025년 04월)
경기 남부지역 약국 77곳
제품명 최고 최저 가격차 평균
삐콤씨정(100정) 25,000 22,000 3,000 23,231
아로나민골드정(100정) 30,000 28,000 2,000 29,447
마데카솔케어연고(10g) 8,000 5,500 2,500 6,863
겔포스엠현탁액(4포) 5,000 3,800 1,200 4,585
둘코락스에스정(20정) 7,000 6,500 500 6,600
전체보기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2715 | 등록일자 2019.11.20 | 발행일자 2019.11.20 | 발행인 : 이정석 | 편집인 : 가인호
발행주소: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 SK V1 GL 메트로시티 A동 401호
전화 : 02-3473-0833 |팩스 : 02-3474-0169 |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강신국)
Contact dailypharm@dailypharm.com for more information
데일리팜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